•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J. Conserv. Sci Search

CLOSE


J. Conserv. Sci > Volume 29(3); 2013 > Artic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13;29(3):279-286.
DOI: https://doi.org/10.12654/JCS.2013.29.3.08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3.
한반도에서 출토된 적갈색 유리구슬의 특성 및 유형 분류
김나영, 김규호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Red Brown Glass Beads Excavated in Korean Peninsula
Na-Young Kim, Gyu-Ho Kim
초 록
지금까지 분석된 삼국시대 12개 유적의 적갈색 유리구슬 141점에 대하여 화학 조성과 제작 기법을 비교하여 적갈색 유리구슬의 특성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적갈색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은 1점을 제외하고 모두 소다유리군으로 안정제와 소다 원료의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CaO보다 Al2O3 함량이 높은 고알루미나유리인 I형은 점유율이 78.6 %이고 유적 대부분에서 출토된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확인된다. 이에 비하여 점유율 13.6 %인 II형은 안정제인 CaO와 Al2O3 함량이 약 5 %이고 MgO와 K2O 성분이 1.5 % 내외로 식물재유리의 조성과 유사하다. III형은 Al2O3보다 CaO의 함량이 높고 MgO와 K2O 함량이 1.5 % 이하로 네트론유리의 조성과 일치하며 점유율은 7.9 %로 가장 낮게 확인된다. 이중에서 III형은 MgO와 K2O의 함량 차이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세분된다. 현미경을 이용한 제작 기법 조사에서 I, II형은 늘인 기법, III형은 주조 기법으로 각 유형에 따라 성형 방법에 차이가 확인된다. II, III형은 점유율이 낮음에도 비교적 여러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으므로 각각 원료가 다른 적갈색 유리구슬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유통된 적갈색 유리구슬은 적어도 3가지 문화적 계통으로 그 특성이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중심어: 적갈색 유리구슬, 무티사라, 소다유리군, 고알루미나유리, 늘인 기법, 주조 기법
ABSTRACT
It is characterized and classified as the type of red brown glass beads to compar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n the 141 samples in 12 sit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analyzed until now.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abilizers(CaO & Al2O3) and soda raw materials(MgO & K2O) on the red brown glass beads except one sample. Type I of high alumina glass is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types that is 78.6 % of the distribution ratio at analytical samples and is excavated the most from ruin sites. In contrast, type II, 13.6 % of distribution ratio at analytical samples, is about 5 % CaO and Al2O3, MgO and K2O at around 1.5 % is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plant ash glass. Type III is that the content of CaO is higher than Al2O3 and the content of MgO and K2O is below 1.5 %. It is the same as the composition of natron glass and its share is the lowest as 7.9 %. Of these, type III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MgO and K2O. It is identified that manufacturing technique of type I and II is drawing and type III is casting method with microscopic investigations. Type II and III is estimated that raw materials is different because is confirmed in the majority of ruins in spite of the fact that distribution ratio is very low. So, red brown glass beads distributed in Korea Peninsula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glass culture.
Key Words: Red brown glass beads, Mutisalah, Soda glass group, High alumina glass, Drawing technique, Casting technique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FOR READERS
Editorial Office
303, Osongsaengmyeong 5-ro, Osong-eup, Heungdeok-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Tel: +82-10-5738-9111        E-mail: journal@conservation.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