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J. Conserv. Sci Search

CLOS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04;16(0):64-76.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04.
지사동 출토 제철슬래그의 금속학적 조사 연구
박성택, 최창옥
The Analysis of Slag Exacavated from Jisa area
Sung-Taik Park, Chang-Ock Choi
초 록
지사동 출토 슬래그에 대하여 화학적인 분석과 현미경 조직관찰에 의하여 금속학적인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인 분석은 ICP, XRD, SEM-EDS로 실행하였으며 슬래그 조직은 금속현미경 및 SEM으로 관찰하였다. 화학적 분석 결과, A 및 C 지구 슬래그의 전철량(Total Fe)은 로 고대 제철과정에서 발생했던 철분의 평균치에 해당하였다. 또한 CaO 성분은 로 많은 양은 아니지만 조재제로 Ca성분을 함유한 재료를 소량 사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지구에서는 Ti성분이 미량 검출되었으며 C지구에선 Ti 성분과 V 성분이 다량 검출되었다. XRD 분석 결과 Fayalite, Wustite, Magnetite, Ilmenite, Pseudo - brookite, Ulvospinel, Forsterite, Fephroite, Olivine 같은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금속현미경 및 SEM에 의한 관찰에서도 위와 같은 조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지구의 로에서는 주로 철광석을 이용한 제련작업을 하였고 C지구의 제철로에서는 철광석을 원료로 하는 제련작업과 사철을 원료로 하는 제련작업이 병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hemical analysis and metallographic observation.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ized by ICP, XRD and SEM-EDS and slag structures were observed by microscope and SEM. Total Fe amounts in A, C area of slag can be observed by chemical analysis results. It was average of acient times. CaO was . It's not plentiful but we think that was artificial. Ti was found in A area a little, and Ti, V were found in C area so much. The compounds, as if Fayalite, Wustite, Magnetite, Ilmenite, Pseudo-brookite, Ulvospinel, Forsterite, Fephroite, Olivine were observed in the result XRD. These structures were also observed in microscope and SEM image. Therefore, The furnance of A area usually used an iron mine, An Iron furnance of C area considered it which refined using a raw iron mine and a raw iron sand.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FOR READERS
Editorial Office
303, Osongsaengmyeong 5-ro, Osong-eup, Heungdeok-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Tel: +82-10-5738-9111        E-mail: journal@conservation.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