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 배경
2.1. 사찰벽화 보존처리에 사용된 고착제
2.1.1. 합성수지(1980년대 초반~1990년대 후반)
2.1.2. 초산비닐계 수지(2000년대)
재료 및 방법
3.1. 시편 제작
3.2. 고착제 도포
Table 1
No. | Fixative | Concentration | Application quantity |
---|---|---|---|
D1 | Dobak-glue (gijang-gun) | 0.5% | 1.3 ml × 3 |
D2 | 1% | ||
D3 | 3% | ||
A1 | Animal glue (stick type, bong-hwang) | 0.5% | |
A2 | 1% | ||
A3 | 3% | ||
N | none | - | - |
실 험
4.1. 채색 안료 분석
4.2. 광학적 조사
4.3. 내후성 실험-자외선 열화 실험
4.4. 내후성 실험-흡습·건조 시험
4.5. 색도 측정
4.6. 반사도·흡수도 측정
결과 및 고찰
5.1. 채색안료 분석 결과
Table 4
5.2. 광학적 조사 결과
Table 5
5.3. 열화 실험 전·후 색도 측정 결과
Table 6
Table 7
5.3.1. 자외선 열화 실험 결과
Table 8
5.3.2. 흡습·건조 시험 결과
5.3.3. 색차 값 결과 고찰
5.4. 반사도·흡수도 측정 결과
5.4.1. 반사·흡수도 결과와 색차변화 비교
결 론
1. 자외선 열화 실험 결과 도박풀 도포 시료에서 석청 1%와 주사 3%를 제외한 대부분의 조건이 아교 도포 시료 에 비해 색변화가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박풀 0.5% 조 건에서 색변화가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흡습 · 건조시험 결과에서는 주사 색상을 제외한 0.5%와 3% 농도의 도박풀 도포 시료에서 아교 시료에 비 하여 색변화가 적게 나타났으며, 아교 1% 등 일부 조건에 서 아교가 도박풀에 비해 색변화가 유사하거나 낮게 나타 났다.
3. 반사 · 흡수도 측정 결과, 도박풀을 도포한 시료에 비 하여 아교를 도포한 시료가 반사율 저하 및 흡수율 증가 현상 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반사율 저하 및 흡수율 증가 는 재질의 열화와 관계되므로, 도박풀 시료에 비해 아교 시 료에서의 열화가 상대적으로 더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전반적으로 고착제를 도포한 시료가 고착제를 도포 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색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박풀의 변색으로 인한 색차 값 차이는 아교 변색으로 인한 색차 값 차이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도박풀이 아교에 비해 열화로 인한 변색으로부터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일 부 아교의 색변이 적은 조건은 대부분 도박풀의 낮은 색차 값 최대 수치에 비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5. 도박풀의 경우 세 가지 농도 조건 중 1%의 조건에서 색차 값이 크게 나타나 토벽화 채색층 고착처리에는 적합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0.5%와 3% 조건은 유사한 색 차 값을 보였으나, 3% 조건은 고착제 자체의 색상이 짙고 점도 또한 비교적 높아 고착제로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의 세 가지 조건에서는 0.5%의 도박풀이 고착 제로서 양호한 조건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 열화실험에 따른 안료별 변색 경향은 주사에서 색차 값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석청, 백토, 뇌록 순으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서는 안료별 변색 경향에 관 한 보다 면밀한 조사와 함께 안료와 매제 간 변색의 상관관 계 등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