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장황형식 및 재질분석
2.1. ‘산수’ 장황형식
2.2. 재질분석
2.2.1. 직물 섬유분석
2.2.2. 종이 섬유분석
2.2.3. 안료분석
보존처리
3.1. 보존처리 전 상태조사
3.2. 해체 및 클리닝
3.3. 구(舊) 배접지 제거 및 결실부 보강
3.4. 배접 및 건조
3.5 병풍 제작
3.6 장황
고찰 및 결론
직물섬유 분석 결과, 작품 하나에 매우 다양한 종류의 섬유가 함께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면, 견 등의 천연섬유와 더불어 합성섬유가 함께 사용된 것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직물 하나에 천연 섬유인 면과 합성섬유가 혼직 된 경우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1940년대에 이미 합성섬 유를 이용한 직조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일 제강점기 당시 군수물자 조달로 인해 국내 직물 공급량이 부족해지자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혼직하도록 했다는 선 행연구 결과(Park, 2013)와 일치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에 서는 수행한 형태적 관찰만으로 합성섬유의 종류를 판별하 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향후 합성섬유의 화학적 구조를 비교할 수 있는 분광분석이 요구된다.
작품의 1, 2차 배접지 및 병풍 속틀의 1, 4차 종이에서 는 닥나무 인피섬유와 초본류, 침엽수 등의 섬유를 혼합한 한지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병풍 속틀의 2차 종 이에서 침엽수재의 특성이 확인되어 혼합된 목재펄프가 사 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3차 종이는 닥나무 인피섬유와 함 께 침엽수재의 단섬유가 확인되어 닥나무와 쇄목펄프가 혼 합되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종이 충전제는 활석, 탄산 칼슘 등이 사용되었으며, 배접지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 인다.
-
작품에 사용된 채색안료는 색상에 따라 그 특성에 차 이를 보인다(Table 6). 백색은 체질안료인 Calcite가 모든 작품의 바탕층과 물감층에서 확인되며, GS의 백색은 Titanium white, Zinc white 등의 착색안료가 추가로 확인되어 다른 작품과 차이를 보인다. 적색은 SB, BR의 일부 분석위치에 서 적색 무기안료인 Vermilion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녹색은 YW, EH에서Ariabel blue가 사용 된 것으로 추정되 며, 녹색물감의 조색법으로 추정해 볼 때 청색과 황색안료 가 혼합된 것으로 판단된다. 황색안료의 특성은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785 nm 휴대용 Raman 분석기는 특정 물질에서 발생하는 형광(fluorescence)의 영향으로 일부 착 색안료는 스펙트럼이 확인되지 않는 단점을 보였다. 그 결 과 일부 적색, 녹색 유기안료의 종류를 해석하는데 어려움 이 있었으며, 낮은 검출강도의 Ariabel blue 스펙트럼 또한 특성피크 확인에 한계를 보였다. 1064 nm 파장의 레이져를 사용한 Raman 분석은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의 광원을 통해 형광의 발생을 줄이고, 스펙트럼의 감도를 높여, 다양 한 유기안료의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석되지 못한 유기안료의 분석을 위해 추후 장 파장 영역의 Raman 분석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보존처리를 통해 화면의 산성도는 감소하였고 전체 적으로 색상이 밝아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