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변화에 따른 미디어 아트 보존 방안: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 미술품 보존을 위한 색 재현성 비교

Conservation Measures for Media Art According to Technological Changes: Color Reproducibility Comparison for Conservation of Artwork Using Video Display

Article information

J. Conserv. Sci. 2024;40(2):168-17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June 20
doi : https://doi.org/10.12654/JCS.2024.40.2.07
1Department of Heritag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Buyeo 33115, Korea
2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Buyeo 33115, Korea
배건민1, 정광용2,
1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2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보존과학과
*Corresponding author E-mail: kychung@nuch.ac.kr Phone: +82-041-830-7362
Received 2024 May 14; Revised 2024 May 28; Accepted 2024 June 3.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 작품은 매체의 노후화 또는 생산 중단으로 인해 보존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매체의 개조 및 변경과 같은 비가역적인 보존처리 방법이 포함될 수 있어 작품의 원본성과 동일성유지권이 침해될 수 있다. 따라서 단종된 CRT를 활용한 작품을 LCD로 대체하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색 재현 요소 비교 연구를 진행하여 중장기 보존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비디오 아트는 비디오 기술을 예술적 표현 매체로 하는 현대 예술 형식으로 기술 의존성을 가진다. 이에 사용된 매체의 변환이 적절한지와 관계되어 보존과정에서 더해진 재료는 ‘재료적인 보존’의 측면에서 원본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CRT와 LCD의 색 특성을 비교하였고, 실험결과, 분광 분포도, 색도 변화 차이, 배경 의존성, 시간 안정성 측정 결과를 통해 LCD의 휘도와 색도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하여 대체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rans Abstract

Artworks using display devices require conservation treatment due to aging or discontinuation of media. However, irreversible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s such as modification and change of existing media may be included, which may infringe on the right to secure the originality and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work. Accordingly,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lor reproduction elements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id to long-term conservation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works using discontinued CRT with LCD. Video art is a modern art form that uses video technology as an artistic expression medium and has technology dependence. Therefore, as the conversion of the used medium is appropriate, the materials added in the conservation process are seen as part of securing the originality in terms of ‘material conserv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CRT and LC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luminance and chromaticity stability of LCD was relatively excellent through the measurement results of spectral distribution, chromatic change difference, background dependence, and time stability,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application.

1. 서 론

과학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발달한 텔레비전, 비디오, 컴퓨터와 같은 현대의 매체(媒體)가 예술가들의 새로운 창작 도구로 사용되면서 미디어 아트(Media Art)라는 기존의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는 다른 새로운 예술 장르가 탄생하였다. 이러한 매체와 예술의 만남으로부터 참여적 요소, 상호작용적인 요소 등 새로운 개념과 구성 요소들을 창출하였고, 최근에는 뉴미디어(New Media Art)라는 큰 틀로 통칭하고 있다(Bae, 2018).

1960년대에 이르러 예술가들이 다양한 매체와 기술을 활용하여 예술 작품을 창작하기 시작하면서 미디어 아트는 현대 예술의 중요한 장르 중 하나로 예술의 경계를 넓혀나갔다. 이를 주도한 대표적인 예술가들로는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로 불리는 백남준, 빌 비올라(Bill Viola), 조안 조나스(Joan Jonas)가 있으며 비디오 아트 분야에서 이들은 기술의 유연성과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통해 전통적인 예술 형식에 도전하고 실험하였다. 매체를 조형물로 인식하는 시도와 함께 ‘탈 모더니즘’이 추구하였던 매체의 확장과 대상의 물성 탐구의 측면에서 설치작업을 통한 ‘영상설치’ 작업이 주를 이루었고, 이는 1990년대 초까지 영상을 활용한 예술은 ‘비디오 아트’로 총칭되었을 만큼 초기 미디어 아트를 대표하는 분야였다(Min, 2013).

위의 ‘영상설치’ 작업에 해당하는 작품들은 모니터, 프로젝터 등의 영상 표시 장치(Video display unit)를 활용한 다. 이와 같은 작품의 구성 요소는 단종되거나 매체 자체의 물리적 노후화 같은 물리적 특성의 한계로 인해 보존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KOFIC, 2014). 하지만 기존의 전통적인 기법으로 캔버스와 유화물감, 금속과 목재 등을 활용한 작품들은 보존 방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미디어 아트에 사용되는 비디오, 컴퓨터 등의 전자매체에 대한 보존 방법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Kwon and Kwon, 2017).

1990년대를 시작으로 영국 TATE Modern, 독일 ZKM(Zentrum für Kunst und Medientechnologie, Karlsruhe, 이하 ZKM), 미국 MoMA 등 해외 소장처는 작품 소장 단계에서부터 소장 후 문서화, 작품 상태 점검과 유지와 관리를 위한 절차 등을 연구하고 있다. 미디어 아트 작품이 가진 상호작용적, 동적, 경험적인 특징 등이 가져올 새로운 개념의 보존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Besser, 2001), 보존처리 사례와 전문가들의 인터뷰가 수록된 간행물을 비롯하여(Depocas et al., 2003), 미디어 아트 보존과 함께 따른 진본성(Authenticity)에 대한 개념을 다룬 연구가 진행되었다(Laurenson, 2006).

또한 국외에서는 작가, 큐레이터, 테크니션, 보존전문가 등이 구성한 미디어 아트 보존 연구 그룹인 Variable Media Network(이하 VNM), DOCAM Research Alliance(이하 DOCAM), Matters in Media Art(이하 MMA)에서 미디어 아트 보존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VNM과 DOCAM은 저장(Storage), 에뮬레이션(Emulation), 마이그레이션(Migration), 그리고 재해석(Reinterpretation) 보존전략을 실제로 발생한 주요 문제들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ZKM에서는 Bernhard Serexhe 외 여러 연구자는 미디어 아트와 디지털 아트의 개념, 특성, 보존 방법, 보존 윤리와 사례를 제시하였다(Serexhe, 2013).

국내에서도 미디어 아트 보존의 필요성과 맞물려 미디어 작품 소장처의 작품관리기준 보완을 위한 기록화 전략을 강조한 연구(Lim, 2007)와 시간 기반 미디어아트 보존에 있어 중요한 진본성(Authenticity) 개념을 정리하고, VNM과 MMA에서 제시한 보존전략과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표준 지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Ju and Oh, 2015). 또한, VNM, DOCAM, MMA 연구 단체가 제시한 보존전략의 중첩된 내용을 분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Lee, 2017).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뉴미디어 작품 보존처리팀 신설과 함께 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그동안 언급되어왔던 보존전략을 실제 작품의 보존처리에 적용하여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Kwon and Kwon, 2018). 육태진 作 <보행자>를 대상으로 미디어 작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유형을 정리하고 보존처리 방법과 예방보존 방안을 제시하였고(Kang and Kwon, 2020), 국내외 뉴미디어 작품 소장처의 보존 현황과 보존 사례를 정리하였다(Kang et al., 2021). 또한, 장시간 전시되어있던 CRT 모니터의 손상유형을 분류하고 경향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Myung et al., 2022).

이처럼 미디어 작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보존전략 분석을 통한 보존처리 방안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으나,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기존 작품에 사용된 기술과 장비의 수리와 교체만을 통한 보존의 한계가 확인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RT(Cathode Ray Tube)를 활용한 미디어 작품을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로 대체하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비디오 아트 보존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구를 진행하였고, 시각 예술에 있어 작품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인 색(色) 재현 요소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KS C IEC 61966에 따라 CRT와 LCD의 화면 이미지 비교를 통해 색 재현 요소를 평가하였다. 삼원색의 분광 광도 분포, 색도 변화를 측정하여 얼마나 정확한 색상을 표현하는지 각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배경 의존성 측정을 통해 화면 배경의 밝기에 따른 측색적 변화율을 비교해보고, 전시를 위해 장치에 장시간 전원이 공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색 재현의 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대체 기술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중장기 보존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배경

2.1. 비디오 아트

비디오 아트는 비디오 기술을 예술적 표현 매체로 하는 현대 예술 형식으로 미디어 아트의 한 장르이다. 비디오라는 대중매체(Medium)를 예술의 재료로 이용함으로써 기록이 아닌 이미지에 대한 논리적, 비평적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표현 매체로 이루어진 것이다(Bae, 2014).

백남준(1932∼2006)은 비디오 아트라는 장르를 이끌어 온 대표적인 작가이다. 1963년 독일 부퍼탈(Wuppertal) 파르나스(Parnass) 화랑에서 열린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에서 세계 최초로 텔레비전수상기를 전시장에 도입하였고, 이후 1965년 10월, SONY社에서 출시한 휴대용 비디오카메라를 사용해 최초의 비디오 아트 작품을 발표하였다(Lee, 2015). 비디오 아트는 그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은 두 개의 분야로 분류된다.

2.1.1. 비디오

녹화 퍼포먼스, 다큐멘터리, 영화, 실험적인 이미지와 같은 시각 정보를 다양한 화면 구성, 색의 변화, 영상 편집 등을 통해 시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라는 매체가 가진 시간의 확장성과 기록이라는 특성을 보여준다.

2.1.2. 비디오 조각(Video Sculpture)과 설치 비디오

(Installation Video)

비디오 조각은 오브제에 비디오 장치나 TV를 재료로 하여 영상 또는 음향을 동반하는 조형 작품이다. 설치 비디오는 비디오 장비와 TV를 이용한 설치물로 다수의 장비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두 분야가 혼재되어있어 명확한 구분이 어렵지만, 기존의 오브제 성격의 예술 형태를 따르고 있어 공간적인 경험을 제공한다(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2.2. 비디오 아트 보존

기존에 사용된 매체를 교체하는 건 작품 생성 당시의 물리적인 외형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에는 작가의 의도라는 개념과 사용된 재료의 다양한 특징에서 부여된 다양성(Diversity)으로 인해 원형과 진본성을 보존하는 측면에서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는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미디어 아트의 진본성 판단은 작품에 사용된 매체의 변환이 적절한지와 관계된다. 앞서 오랜 기간 문화유산에서 논의되었던 원형 보존 개념 분석을 통해 미디어 아트의 원형 보존 개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2.2.1. 보존이론의 흐름

20세기 문화유산 보존의 큰 흐름은 프랑스 건축가 Viollet le Duc과 영국의 미술 평론가 John Ruskin에 의해 형성되었다. 당대와 후대의 학자들이 John Ruskin의 반(反)복원(복원과 같은 개입은 원형을 왜곡하므로 최소한의 유지나 보수만이 개입 가능) 이론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이는 아테네 헌장과 베니스 헌장 등에 반영되었다(Lee, 2003). 이러한 흐름 속에 문화유산를 보존하는 과정에서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이미 불변의 원칙으로 자리하였으나, 점차 새로운 보존 원칙들이 논의되면서 기존 전통의 원형 보존 원칙들이 실질적으로 지켜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Ju and Oh, 2015). 1980년대부터는 실질적인 원칙 수립과 문화유산 분야별로 특징을 고려한 다원론적 원칙이 제시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부터는 다양성을 고려해 물리적인 형태보다는 내재한 가치와 기술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과 문화유산를 활용하는 부분을 고려한 보존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Table 1).

Declaration, code of ethics, and guidance for practice

2.2.2. 원형과 가치

보존이론에서는 작가, 건축가 등 창작자가 작품을 완성한 순간의 형태와 후대에 보수하거나 개선을 위한 개조나 기능의 변화를 포함하여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볼 수 있다. 문화유산이 ‘과거로부터 물려받아 당대에 활용하여 후대에 온전히 전달해야 하는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최초의 형태로 정의되었던 ‘원형’의 정의와 함께 시간의 흐름에 의해 담긴 다양한 형태와 역사적인 흔적들도 중요한 가치로 인정받을 수 있다. 또한, 원형은 물리적인 형태와 그것을 구성하는 재료 자체의 ‘물리적인 가치’와 내재한 정신, 기술, 미학적 가치와 같은 ‘정신적인 가치’로 규정된다(Lee, 2003).

2.2.3. 현대미술 보존에서 원형과 가치

현대미술 보존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재료의 접목과 같은 재료적인 문제와 작가의 의도와 같은 개념적인 문제로 구분된다(Heo, 2013). 미디어 아트 작품과 작품에 사용된 기술 및 장비의 관계는 기술 의존성으로 인한 ‘물리적인 가치’의 취약성으로 인해 ‘정신적인 가치’까지 함께 위협받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예술 작품과는 다른 보존 방식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현대미술 작품에서는 작가의 의도, 내재된 메시지, 사회⋅문화적 맥락과 같은 비물질적 요소를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그들의 저작 인격권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Kwon, 2020). 따라서 미디어 아트 작품에 있어 어떠한 요소가 작품의 원형과 진정성에 필수적인 요소인지는 작가의 의도와 맥락에 따라 해석할 수 있다(Hong, 2021).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백남준은 이러한 보존 문제를 예측하였으며, LACMA가 소장하고 있는 그의 작품 <Video Flag Z>의 경우 “작품에 사용된 장치는 기존과 크기가 같고 외관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해 새로운 모델이나 기술로 교체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기술에 맞게 변환될 수 있다”라고 문서로 남겼다(Kim, 2016). 또한, 비디오 예술가 빌 비올라는 “미디어 작품 보존을 위한 새로운 기술 방식의 활용이든, 기존 기술 방식의 접근이든, 작품의 하드웨어, 최소한 그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은 작품 보존의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하여야 한다.”라고 하였다(Corzo, 1999).

이를 통해 미디어 아트 작품의 기술 의존성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원래의 재료가 아닌 보존과정에서 더해진 재료는 재료적인 보존 문제의 측면에서 작품의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아 진정성을 유지하는 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접목은 작품의 진정성을 훼손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가지게 되는 역사적 가치 획득을 막는 행위가 될수 있기에 주의가 필 요하다(Kim, 2016).

3. 연구내용

3.1. 연구 대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 공정에서 제조한 제품이라도 회로 조절의 정확도, 영상 송출 신호 사양, 화면 조정 상태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교체 시 장치의 색 재현 요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광원에 따른 색 재현 평가 요소 비교를 위해 1. CRT 모니터(CT-14F3, SAMSUNG Electonics, KOR), 2. LCD 모니터(VT-MT, SHENZHEN Viewtech, CHN)를 선정하였다(Table 2).

Display used in the experiment

CRT를 대체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소 사양은 비율 4:3, 시야각 160° 이상, 밝기 250 cd/m2 이상이 요구된다(Kwon, 2019). 따라서 시야각 180°에 근접한 넓은 시야각을 가진 IPS 패널을 장착한 LCD 중 4:3 비율로 제작된 모델을 선별하여 진행하였다.

3.2. 연구 방법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기기 – 칼라 측정과 관리(KS CIEC 61966)를 참고하여 분광 광도 분포, 삼원색 색도 특성, 배경 의존성, 시간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모니터 예열 시간 30분, 온도 25±3℃, 상대습도 25∼85%, 대기압 86∼106 kPa, 조도 1 Lux 미만 조건에서 진행하고, 디스플레이 색 분석기(CA-410, KONICA MINOLTA, JPN)를 사용해 측정하였다(Table 3).

Display color analyzer CA-410

측정은 디스플레이의 수직 높이를 h라 할 때 측정 장치와의 거리 d를 4h이거나 그 이상으로 설정한 무접점 측정 방법과 측정 장치의 프로브를 디스플레이 표면에 닿게 하여 접점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해 측정 장치의 시각축이 수직이 되도록 정렬하고, 측정점은 화면 중앙에 h/5 크기로 나타냈다(Figure 1).

Figure 1.

Diagram of measuring manual.

4. 연구결과

4.1. 분광 광도 분포 측정 결과

측색 결과, CRT는 그래프의 R, G. B는 색을 각각 내는 도료가 도포된 섀도 마스크(Shadow Mask)를 통과하여 발광하는 빛의 스펙트럼으로 LCD보다 완만한 분광 분포도를 보였다. LCD는 그래프의 형태가 좀 더 가파르며 BLU가 RGB 삼색 필터를 투과한 빛의 스펙트럼으로 전형적인 LCD의 분광 분포도를 보인다. 적색의 피크가 600∼650 nm에서 나타나고 그 세기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녹색은 그래프의 양상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비슷한 채도를 나타냄을 확인했고. 청색 파장의 대역폭이 LCD가 좁아 상대적으로 높은 채도를 보일 수 있으나 피크 발생 지점과 세기가 유사하기에 그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Figure 2).

Figure 2.

Spectrum distribution of displays.

4.2. 삼원색의 색도 특성 결과

R, G, B 신호 입력값을 32, 64, 96, 128, 160, 192, 224, 255로 나눠 입력하여 색도 변화 특성을 측정하고 디스플레이별 삼원색 계조의 색도 좌표 u′, v′를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CRT의 색도 좌표가 LCD보다 모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LCD는 신호 입력값 단계에 따라 색도 좌표가 달라짐을 볼 수 있었고, 이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발광성과 채도가 변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CRT는 휘도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나 입력된 좌표에 따른 색도 변화가 미약한 것을 통해 CRT 발광체의 항상성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4, 5).

Chromaticity change of CRT

Chromaticity change of LCD

4.3. 배경 의존성 측정 결과

디스플레이 화면 배경의 밝기에 따른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R, G, B 최솟값(0, 0, 0)과 최댓값(255, 255, 255)을 화면에 입력하여 측정 후 색차 ΔE*ab를 비교하였다(Table 6).

Result of background dependability

측정 결과, CRT의 배경에 따른 휘도가 93 cd/m2에서 73 cd/m2로 어두워진 것으로 보아 이는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구조적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Black background와 White Background에 대한 색차 값은 CRT는 1.89, LCD는 0.3으로 미국 국립표준사무국(NBS)에 따르면 ΔE*ab가 색차 2.2인 지각 범위 내에 있고, 색차 값 기준 6 이하는 사람이 인식하기에 같은 색으로 인식되기에 측정한 두 디스플레이 모두 배경 의존성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Table 7).

Color difference standard by NBS

4.4. 시간 안정성 측정 결과

장시간 운영되는 비디오 아트 작품 특성상 장시간 전원 인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색 재현의 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디스플레이에 R, G, B 최댓값(255, 255, 255)을 화면에 입력하여 2시간 동안 1분 단위로 백색(White) 화면의 색도와 휘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CRT는 전원 인가 후 휘도가 소폭 상승하다가 30분 후부터 안정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색도도 측정 시간 동안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 LCD는 전원 인가 후 가장 높은 휘도를 보였으나, 5분 후부터 안정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Figure 4). 이와 같은 차이는 상대적으로 전원 인가 시 LCD 대비 고압의 전력을 요구하는 CRT의 특성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Figure 3.

Stability of CRT over running time.

Figure 4.

Stability of LCD over running time.

5. 결 론

이론적 배경 수집을 통해 증가하는 미디어 아트 작품 보존 수요에 대한 보존 방안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기술 의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디어 아트 작품의 손상은 기존의 예술과 큰 차이를 보이며 다른 보존 방식의 접근을 요구한다. 작품의 원본성과 진정성 보존에 있어 창작자의 의도와 맥락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이러한 개념적인 측면의 ‘정신적인 가치’가 유지되려면 재료적인 측면의 ‘물리적인 가치’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품 기존 요소와 변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과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보존과정에서 더해진 재료는 작품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색 재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LCD가 기존의 CRT와의 구조적 차이로 인한 측색적 측면에서의 수치상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 지각(Perceptibility) 범위 안에 있어 작품 관람 시 육안상 그 차이를 인지하기 어렵고, 특히 시간 안정성 측정 결과 LCD가 CRT보다 휘도와 색도가 더 빠르게 지속해서 안정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관람을 위한 장시간 가동이 요구되는 미디어 아트 작품의 특성상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체 기술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를 마련하였으나 매체 변경에 따른 작품의 외형적 변화가 유발될 수 있어 이를 보완할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OLED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적용해보는 연구와 최신 기술 동향과 관련 연구 현황에 대한 자료 수집(Archiving)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체 기술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기존 매체와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마이그레이션(Migration)’ 연구와 같이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한 보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Bae S.B.. 2014. A study on image restoration methods of video art – Focused on digital converting to based calibration –. Master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Chungju: 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Bae S.B., Han K.S.. 2018;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art – Focusing on collections of domestic museums. Korea Science & Art Forum 33:137–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Besser H.. 2001. Longevity of electronic art. In : International cultureal heritage informatics meeting(ICHIM). Milan; Sep 3-7; p. 263–275.
Corzo M.A.. 1999. Mortality immortality – The legacy of 20th century art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LA: (in English).
Depocas A., Ippolito J., Jones C.. 2003. Permanence through change – The variable media approach Guggenheim Museum publications and The Daniel Laglois Foundation for Art, Science, and Technology. New York: p. 47–69. (in English).
Heo B.R., Han K.S.. 2013;A study on plan of the conservation in contemporary art – Revised decisionmaking model. Korea Science & Art Forum 14:505–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ong J.S., Myung N.H., Kwon I.C.. 2021;A study on color difference adjustment of CRT and LCD display for display replacement of CRT based art work. Conservation of Art 7:115–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Ju Y.U., Oh J.H.. 2014;Relationship between the notion of authencity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time-based media art – Focused on variable media network and matters in meida art. Korea Science & Art Forum 21:383–3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ang G.M., Kwon I.C.. 2020;A study on damage types and conservation methods of video device – Yook’s ‘Working Man’. Conservation of Art 6:5–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ang G.M., Bae G.M., Kwon I.C.. 2021;A study on the conservation method through the case study of new media art at domestic and abroad. Conservation of Art 7:91–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im E.J.. 2016;Interpreting authenticity in the conservation of contemporary art. Journal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8:85–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OFIC(Korean Film Council). 2014. The digital dilemma – Strategic issues in archiving and accessing digital motion picture materials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of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 Busan: (in Korean).
Kwon I.C., Kwon H.H.. 2017;Conservation methods of new media art based on conservation strategies. Journal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9:95–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won I.C., Kwon H.H.. 2018;A study on management method of multimedia devices and recording media for conserving new media art. Conservation of Art 4:85–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won H.H., Lee G.S.. 2020;Collaboration with stakeholders for conservation of contemporary ar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6:37–46. (in English).
Laurenson P.. 2006;Authencity, Change and loss in the onservation of time-based media installations. Tate Papers 4:1–12. (in English).
Lee S.J.. 2003;The principle of preserving original form in the context of changing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conservation theory. Kyungju Cultural Research 6:200–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ee S.B.. 2017. A study of documentation and technical conservation strategies for new media art conservation – Focused on Variable Media Network, DOCAM Research Alliance and Matters in Media Art. Master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3–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im E.J.. 2007. The documetation strategy for preserving of media arts. Master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Min H.J.. 2013. A study about Korean media arts from the 1969 to 1999 based on visual media. Master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Monthly Art. 1999. World Art Glossary Monthly Art. Seoul: (in Korean).
Myung N.H., Bae G.M., Kang G.M., Kwon I.C.. 2022;A study on damage types and preservation strategies through precise diagnosis of CRT monitors displayed for a long time. Conservation of Art 8: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Serexhe B.. 2013. Preservation of digital art : Theory and practice : The project digital art conservation Ambra V. Wien: (in English).
Yi W.K.. 2015;CRT(Cathode Ray Tube) and media art – Focusing on <Exposition of Music-Electonic Television> (1963) by Nam June Paik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6):407–4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Diagram of measuring manual.

Figure 2.

Spectrum distribution of displays.

Figure 3.

Stability of CRT over running time.

Figure 4.

Stability of LCD over running time.

Table 1.

Declaration, code of ethics, and guidance for practice

Title Institution Contents
Code of Ethics and guidance for conservation practice (1986) AICCM Recognizing the cultural and spiritual importance of Australian Aboriginal cultural properties in Australia and reflect their opinions in decisions
Nara Document on Authenticity (1994) UNESCO The reliability and integrity of all data, including the value, nature, meaning, and history of cultural heritage, are judged as the basis for judging the authenticity
Code of Ethics and Rules of Practice (1998) UKIC The need for conser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between the use of cultural needs of modern society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Table 2.

Display used in the experiment

Display Type Model Size Brightness Resolution
CRT (Cathode Ray Tube) CT-14F3, Samsung Electronics 14″(4:3) 250 cd/m2 800 × 600
IPS Active Matrix LCD VT-MT, Shenzhen Viewtech 10″(4:3) 350 cd/m2 1024 × 768

Table 3.

Display color analyzer CA-410

Measurement area φ10 mm
Measurement distance 30±5 mm
Accuracy guarantee range Luminance 0.01∼5000 cd/m2
Chromaticity 0.01∼5000 cd/m2
Accuracy (for white) Luminance 1.5% (nearby 100 cdm2)
Chromaticity ±0.002% (nearby 100 cd/m2)

Table 4.

Chromaticity change of CRT

Chromaticity coordinates Data Red
Green
Blue
u′ v′ u′ v′ u′ v′
D1 0.4152 0.5083 0.1423 0.5432 0.1705 0.1779
D2 0.4348 0.5298 0.1422 0.5568 0.1702 0.1744
D3 0.4489 0.5311 0.1435 0.5597 0.1691 0.1732
D4 0.4511 0.5326 0.1450 0.5608 0.1691 0.1729
D5 0.4518 0.5324 0.1438 0.5622 0.1689 0.1729
D6 0.4520 0.5323 0.1433 0.5623 0.1693 0.1727
D7 0.4519 0.5325 0.1432 0.5621 0.1692 0.1728
D8 0.4523 0.5323 0.1433 0.5619 0.1693 0.1731

Table 5.

Chromaticity change of LCD

Chromaticity coordinates Data Red
Green
Blue
u′ v′ u′ v′ u′ v′
D1 0.2736 0.4869 0.1784 0.4643 0.1833 0.3456
D2 0.3498 0.4989 0.1596 0.4987 0.1801 0.3021
D3 0.4002 0.5015 0.1322 0.5428 0.1785 0.2215
D4 0.4189 0.5215 0.1288 0.5483 0.1767 0.2064
D5 0.4211 0.5289 0.1253 0.5512 0.1764 0.2028
D6 0.4253 0.5301 0.1235 0.5573 0.1765 0.2011
D7 0.4287 0.5338 0.1202 0.5582 0.1759 0.1988
D8 0.4316 0.5351 0.1208 0.5601 0.1762 0.2005

Table 6.

Result of background dependability

Black ground (0, 0, 0)
White ground (255, 255, 255)
ΔE*ab
X Y Z X Y Z
CRT 91.52 93.43 139.8 71.53 73.18 110.23 1.89
LCD 198.53 211.15 240.2 197.98 210.83 240.5 0.3

Table 7.

Color difference standard by NBS

0.0 to < 0.5 0.5 to < 1.5 1.5 to < 3.0 3.0 to < 6.0 6.0 to < 12.0 ≥ 12.0
Trace Slight Noticeable Appreciable Much Very Mu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