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이씨家 초상화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모사복원방안 연구

A Study on Replica Restoration Method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f Seongju Lee Family’s Portraits

Article information

J. Conserv. Sci. 2022;38(3):201-21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June 22
doi : https://doi.org/10.12654/JCS.2022.38.3.03
1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33115, Korea
2High Heritage Care, Daejeon 34013, Korea
3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33115, Korea
정지윤1, 이장존2, 한민수3,
1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2하이문화재케어
3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Corresponding author E-mail: dormer@nuch.ac.kr Phone: +82-42-830-7381
Received 2022 March 31; Revised 2022 April 20; Accepted 2022 May 2.

Abstract

성산사에 봉안되어 있는 성주 이씨家 초상화 중 2점(이조년, 이숭인)을 대상으로 사용 재료 및 기법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하여 최적의 모사복원방안을 설계하였다. 표현 기법 조사 결과, 두 진영 모두 선묘 위주로 표현되었지만, 신발과 눈동자, 육색 표현, 가채, 보강 흔적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안료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적색 안료는 주사와 연단의 혼합 혹은 유기 안료를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을 사용했다. 녹색 안료는 석록(Malachite)이 사용되었고, 백색 안료는 연백을 사용했다. 황색 안료는 유기 안료와 금박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숭인 진영은 석간주와 녹염동광(Atacamite)도 사용되었다. 또한 동시대 사대부상과 비교한 결과, 두 초상화에서 당시 초상화 양식이 발견되나 변형된 특이점이 존재하였다. 과학적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이조년 진영은 고색복원모사, 이숭인 진영은 현상모사로 결정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표현 기법들을 과학적 분석 데이터로 보완하여 세부적인 채색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색상별로 초상화에서 대표적인 위치의 색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한 색상 기준값을 제시함으로써 유물의 현재 색상을 최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모사복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Trans Abstract

Materials and techniques u sed for two portraits (Jo-nyeon Lee and Sung-in Lee) of the Lee family from Seongju enshrined in Seongsan temple were scientifically analyzed, and based on the data, an optimal replica restoration method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echnique investigation, both portraits were expressed mainly in line drawing,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hoes, pupils, the color expression of flesh, overpainting, and traces of reinforcement. Pigment analysis revealed that a mixture of cinnabar and minium, organic pigment, azurite, malachite, lead white, and yellow pigment were used in common. In the case of Sung-in Lee’s portrait, seokganju and atacamite were also used. In addition, comparison with the contemporaneous portraits of gentry showed that the portrait style at the time was found in the two portraits, but the singularity was modified differently there.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it was decided to replicate the old color restoration for Jo-nyeon Lee’s portrait while for Sung-in Lee’s portrait, it was decided to replicate the phenomenon. Detailed coloring techniques were presented by supplementing the expression techniques that are difficult to confirm visually using scientific data.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chromaticity of representative positions in the portrait for each color and presenting the color reference value calculated as the average value, the current color of the artifact can be replicated and restored based on the objective data as much as possible.

1. 서 론

성주 이씨家 초상화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화재이며, 특히 연구대상인 1746년 본은 사대부상으로 18세기 제작된 다른 초상화들에 비해 특이한 성격을 가진다. 윤진영은 성주 이씨 가문의 초상화 중 안산영당에 전해져 온 이모본들을 대상으로 미술사적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의 연구에서 밝혀진 미술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성주 이씨家 초상화는 원본이 소실되었고 현존하는 초상화는 모두 이모본으로 총 32점에 달하며, 그때마다 이모의 시기를 빠짐없이 화면에 기록해 두어 이모본의 다양한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중앙이 아닌 지방에서 제작된 초상화로 봉안처가 전남 고흥과 경북 성주에 있고, 중앙 양식과의 비교와 지방 양식으로서의 특징을 다양한 사례별로 관찰 가능한 유물이다. 연구대상인 1746년 본의 경우에는 영조시대 초상화법과 18세기 사대부상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 나타나 있는 자료로서(Yun, 2009), 성주 이씨家 초상화의 문화재로서의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모사복원 연구의 경우 어진, 불화, 단청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공신초상화인 신숙주 초상의 현장조사, 안료 분석, 회화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사본을 제작한 사례(Oh, 2018)는 있다. 공신초상화는 왕명에 의해 그려지며, 사대부상은 민간에서 첨배용으로 제작함이 다르다(Cho, 2004). 과학적 분석 데이터에 근거한 모사복원은 아니지만, 성주 이씨家 초상화의 모사에 대한 연구는 있다. 2006년엔 조선시대 모사 용어와 어진, 공신도상, 사대부상의 모사를 연구한 사례(Kim, 2006)가 있는데 성주 이씨家 초상화가 포함되어 있다. 이상주는 성주 이씨가 문의 일원이자 조선 중기 문신인 이문건(1494∼1567)이 원본 초상화를 보고 직접 이모한 모사본과 고찰한 기록에 대해 연구하였다(Lee, 2014).

현대 보존과학계에서 이루어지는 모사복원의 배경은 과거의 모사와 성격은 다르지만 원본을 후대에게 전승하고 보존하는 최종적인 목적은 같다. 성주 이씨家 초상화는 후대에 전승될 만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로, 현대의 관점에서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하여 성주 이씨家 초상화에 맞추어 최적화된 모사복원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산사에 봉안되어 있는 성주 이씨家 초상화 중 2점(이조년, 이숭인)을 대상으로 모사복원방안을 설계하였다. 또한 성주 이씨家 초상화의 보존을 위한 모사복원방안 연구 및 18세기 사대부상의 제작 양상의 기초 자료를 남기고자 한다.

2.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성산사 내부에 모셔진 진영은 처음에 7위가 모셔졌으나 현재 3위가 도난당하여 없어지고 1746년 본인 4위만 남아 전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고흥군 풍양면 한동리 231 성산사에 봉안되어 있는 성산이씨 가문의 초상화 중 2점(이조년, 이숭인)이다(Figures 1, 2). 이조년(李兆年, 1269∼1343)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이며,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이다(Son, 1995). 이숭인(李崇仁, 1347∼1392)은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 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고려말의 삼은1)” 으로 일컬어진다(Bae, 1988).

Figure 1.

The portrait of Jo-nyeon Lee.

Figure 2.

The portrait of Sung-in Lee.

2.2. 연구 방법

과학적 조사는 상태 조사, 표현 기법 조사, 채색 안료 분석, 바탕 섬유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상태 조사 과정에서 유물을 실측하고, 훼손의 종류⋅정도⋅위치 등의 상태를 파악하였다. 표현 기법 조사는 먼저, 적외선 램프(C1385-02, HAMAMATSU, JPN)와 적외선 카메라(X-T1 IR, FUJIFILM, JPN)로 적외선 사진을 촬영하여 먹선을 확인하였다. 필터는 820 nm(FUJI Filter Optical, FUJIFILM, JPN)를 사용하였다. 실체현미경(DG-3, Scalar, JPN)과 육안관찰을 통해 기법을 분석하고, XRF 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채색 안료 분석은 색도계(CR-400, Konica Minolta, JPN; CM-700D, Konica Minolt a, JPN)와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XRF, Vanta C series, Olympus, JPN)로 현장에서 비파괴 분석하였다. 채색 안료 중 녹색 안료는 P-XRF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μ-XRF(ORBIS, AMETEK, USA; Orbis Vision Software, AMETEK, USA)와 XRD(Miniflex 600, Rigaku, JPN)로 추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μ-XRF는 40 kV, 700 μA, 필터 2종(open, Al 25 μm), Live time 100∼200 sec 조건에서, XRD는 tube current 15 mA, voltage 40 kV, step size 0.02°, scan speed 2.000 deg/min 조건에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바탕 섬유 분석은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경화제를 25:3 비율로 혼합하여 마운팅한 후, 광학현미경(Eclipse LV100N POL, Nikon, JPN)으로 단면 형태를 분석하였다.

3. 연구 결과

3.1. 인문학적 조사

3.1.1. 명문조사

두 진영 모두 두 사람이 지냈던 관직명, 시호, 초상화의 개모⋅중모 시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모두 일치한다(Cho, 1983; Kim, 2006; Yun, 2009)(Table 1). 또한 이숭인 진영 좌측 상단 명문에는 기재된 자찬문의 제목(「鄕僧止庵寫 余陋眞因作贊」)을 통해, 이숭인 진영의 원본은 ‘성주지역 에서 활동하던 향승(鄕僧)’인 ‘지암(止庵)’이 그렸음을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조선미는 문집의 글이 후대에 이모하면서 기재되었을 가능성도 있어 지암이 화가인지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주장하였으며(Cho, 1983), 성주 이씨家 초상화의 경우에는 이모 시기에 따라 부분적으로 수정되어 이모된 특징이 있으므로 화가를 특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The record written on portraits

3.1.2. 화가

두 진영의 왼손은 염주를 쥐고 있었던 듯한 손모양을 하고 있는데, 고려시대에 이 초상화의 원본을 화승이 아닌 일반 화가가 그렸다면,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상(Figure 3)처럼 공수(拱手) 자세를 취했을 가능성이 크다(Yun, 2009). “그 밖에 손을 드러내거나 비교적 자유로운 포즈를 취한 점 등으로 보아 두 초상화의 원본은 화승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Yun, 2009). 이연주의 연구에 의하면 문인화론에서 대체로 문인(문인화가)의 그림은 사대부의 그림이나 그 화법을 의미하는 ‘유화(儒畵)’ 혹은 ‘유법(儒法)’으로, 도화서 화원을 비롯한 직업화가의 그림은 도화원의 화법임을 나타내는 ‘원화(院畵)’, ‘원수(院手)’, ‘원법(院法)’ 등으로 정의한다(Lee, 2017). 조선후기학자 이규상의 이론에 의하면 유법은 신운을 위주로 하며, 필획의 정돈되고 서투른 것에 연연하지 않는 화법으로(Lee, 2017), 이조년⋅이숭인 진영은 사대부상이며 가채된 부분이 있고 필획이 거침없으므로 원법보다 유법의 묘사와 유사하다. 즉 두 초상화의 원본 초상화는 신원 미상의 화승이 그렸고, 후대에 문인 화가들이 이모한 것으로 추정된다.

Figure 3.

Portrait of Mong-joo, Jeong (Sour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2. 과학적 조사

3.2.1. 상태 조사

이조년 진영의 규격은 83 cm × 138.5∼139 cm으로, 바탕 섬유는 견섬유로 추정된다. 견은 부드럽고 섬세하여 고려 불화나 초상화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특히 모사할 때는 비치는 바탕지인 견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Kim, 2013), 같은 해 같이 모사된 이숭인이 확실히 견섬유로 분석되었다(Figure 6). 구김과 접힘으로 인한 찢김은 있지만 안료는 거의 박락되지 않고 비교적 양호한 보존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우측 상단과 족좌대에 적갈색 오염물이 관찰되며, 녹색과 청색 안료의 박락 현상이 관찰된다(Figure 4). 적외선 사진과 일반 사진을 대조한 결과 차이점이 없었으며, 육안관찰에서 보여지는 먹선과 일치하였다 (Figure 5).

Figure 6.

Cross section of background fibers of Sung-in’s portrait (× 100).

Figure 4.

Aging pattern of Jo-nyeon’s portrait.

Figure 5.

Jo-nyeon’s portrait (left), infrared photograph (right).

이숭인 진영의 규격은 85 × 145 cm로, 바탕 섬유의 경사와 위사 모두 견섬유로 동정되었다(Figure 6). 접힘으로 인한 찢김이 이조년 진영에 비해 더 심했으며, 녹색 관복부에서는 대부분의 안료 박락 현상과 바탕지의 심각한 열화와 탈락 현상이 관찰되었다. 녹색과 청색 안료의 박락이 심하다(Figure 7). 적외선 촬영결과 초상화 기준으로 좌측 중단에 교의 등받이 부분이 이모 시에는 먹으로 채색되었으나, 이후 녹색 안료로 덧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8).

Figure 7.

Aging pattern of Sung-in’s portrait.

Figure 8.

Sung-in’s portrait (left), infrared photograph (right).

3.2.2. 채색 안료 분석

이조년 진영의 경우, 적색은 주사(朱砂, Cinnabar, HgS) + 연단(鉛丹, Minium, Pb3O4)과 적색 유기 안료, 청색은 석청[石淸, 남동광, Azurite, 2CuCO3⋅Cu(OH)2], 녹색은 석록[石綠, 공작석, Malachite, CuCO3⋅Cu(OH)2], 백색은 연백[鉛白, Lead white, 2PbCO3⋅Pb(OH)2], 황색은 금박과 황색 유기 안료가 사용되었다. 이숭인 진영의 경우, 적색은 주사 + 연단, 석간주(石間硃), 적색 유기 안료, 청색은 석청, 녹색은 석록(Malachite)과 녹염동광[Atacamite, Cu2Cl(OH)3], 백색은 연백, 황색은 금박과 황색 유기 안료가 사용되었다. 두 초상화는 녹염동광(Atacamite)과 석간주를 제외한 안료 선택이 같다(Figures 9, 10)(Tables 2, 3).

Figure 9.

Analyzing points of Jo-nyeon’s portrait.

Figure 10.

Analyzing points of Sung-in’s portrait.

P-XRF r esult of Jo-nyeon’s p ortrait

P-XRF result of Sung-in’s portrait

조선시대 회화에 사용되었던 안료들은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송유나는 백색에서는 백토와 연백, 황색에서는 등황, 치자 등의 유기 안료와 석황, 황토, 적색에서는 연단, 주사, 은주와 같은 무기 안료와 연지와 같은 유기 안료도 사용되었다. 녹색에서는 석록과 동록, 청색에서는 석청, 회청, 쪽이 사용되었다(Song, 2018). 녹염동광 (Atacamite)은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전시기에 걸친 많은 채색 회화 안료 분석에서 동정되었다(Oh et al., 2020). 또한 석간주는 고대부터 널리 사용된 토양성, 광물성 안료이다(John, 1989). 18세기 제작된 전신상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Fine Arts Division, 2007-2009; Moon, 2010), 성주 이씨家 초상화는 조선시대 중기에 모사된 초상화로, 분석된 안료와 당시 회화에 주로 사용되었던 안료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Table 4).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portraits in the 18th century

녹색 안료의 경우 P-XRF와 실체현미경 결과만으로 동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조년 진영의 연녹색 안료를 대상으로 한 μ-XRF 분석 결과 염소(Cl)가 검출되지 않았으며(Figure 11), XRD 분석 결과 Malachite로 동정되었다(Figure 9). 즉, 연녹색 안료는 석록(Malachite)으로 판단된다(Figure 12).

Figure 11.

Micro-XRF result s of Jo-nyeon’s portrait.

Figure 12.

XRD result of Jo-nyeon’s port rait. M: Malachite.

이숭인 진영의 녹색 안료는 진녹색, 연녹색 2종으로 구분되며 모두 XRD 분석하였다. 연녹색은 Malachite와 Atacamite로 분석되었으나, 녹색 2종이 같이 분석되어 석록(Malachite)으로 판단하였다. 진녹색은 Atacamite와 Clinoatacamite로 분석되었으며, 녹염동광(Atacamite)으로 판단된다(Figure 13).

Figure 13.

XRD results of Sung-in’s portrait, (left) bright green, (right) dark green. M: Malachite, A: Atacamite, C: Clinoatacamite.

3.2.3. 표현 기법 조사

육안 관찰과 실체현미경 관찰을 통해 부위별 표현 기법을 확인하였다. 비파괴 분석방법으로 이조년 진영의 적색 직령부와 이숭인 진영의 육색부 등은 배채의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지만, 이조년 진영의 육색, 청색 속 포, 녹색 속 포와 이숭인 진영의 육색, 청색 속 포, 화문석 돗자리는 배채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조년 진영은 바림 기법이 사용되었고, 선묘 위주로 표현되었다. 백색선 가채나 보강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육색은 실체현미경상에서 백색 입자가 거의 보이지 않아 연백으로 배채 후 황색 유기 안료로 전채하였고, 먹으로 명암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눈은 동공 바깥에 백색 테두리가 있으며, 흰자 가장자리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연해지는 바림 표현을 하였다. 신발의 경우에는 윗면은 연백 위에 먹을 얹어 양감을 표현하였고, 바닥은 바탕색 채색 없이 연백을 사용하여 쐐기 모양으로 표현하였다(Table 5).

Expression techniques of Jo-nyeon’s portrait

이숭인 진영은 관복부의 열화 및 박락으로 인해 바림 기법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선묘 위주로 표현되었다. 신발의 경우, 윗면은 연백 위에 먹을 얹어 양감을 표현하였으나, 이조년 진영보다 더 강하게 양감이 표현되었다. 신발 바닥은 연백으로 전채되었다. 갓끈과 교의에 맨 황색천의 윤곽 표현으로 백색선이 가채되었다. 눈은 동공 바깥에 백색 테두리가 없으며, 흰자의 채색이 두텁되 가장자리는 거의 채색하지 않았다. 육색은 백색 양감 표현이 거의 없는 육색부의 실체현미경 결과 백색 입자가 거의 보이지않아 연백과 연단의 혼합으로 배채 후 황색 유기 안료로 전채한 것으로 추정되며, 먹으로 명암을 주고 연백으로 양감을 표현하였다. 청색 속 포의 윤곽이 먹으로 가채된 부분이 일부 존재하였으며, 교의 등받침(왼쪽)과 턱수염 및 녹색 속 포 부분에서 보강 흔적(석 록 덧칠)이 발견되었다(Table 6).

Expression techniques of Sung-in’s portrait

이조년⋅이숭인 진영은 동시대에 제작된 전신초상화에 비해 특이점이 있다. 당시엔 화문석 돗자리가 보통 족좌대의 천판에 그려지는데2) 이조년⋅이숭인 진영은 바닥에 그려져 있다. 또한 동시대 초상화는 이목구비 윤곽선을 진사와 산화철을 주로 사용한 반면, 두 진영은 먹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이조년 진영의 신발 바닥 표현(바탕 채색 없이 백색 쐐기 모양)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나타나며, 이숭인 진영의 신발 바닥 표현(백색 전체 채색)은 18세기 중반부터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Table 7).

Expression techniques of portraits in the 18th century

4. 모사복원방안 설계

이조년 진영은 박락돼서 탈락한 부분이 거의 없고, 접힘으로 인한 훼손만 존재하기 때문에, 색은 현재의 색상을 토대로 복원하되 작품의 형상은 박리⋅박락⋅오염 등을 제외하고 제작될 당시의 모습으로 그리는 고색복원모사(Kim, 2013)를 선택하였으며, 이숭인 진영은 관복부 훼손이 심하여 적외선 촬영의 유의성이 떨어지므로, 안료의 박리⋅박락⋅오염 등을 포함하여 작품의 현재 상태를 그대로 복원하는 현상모사(Kim, 2013)로 결정하였다. 바탕재는 화견을 황색으로 염색하여 유물의 바탕색과 비슷하게 하여 준비한다.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아교 포수 시 2.0% 아교수와 백반 10.0%의 교반수를 사용하고, 안료와 섞을 전색제는 원색을 중첩해서 채색할 경우에 아교 농도는 3%, 아닐 경우 5%로 한다(Lee, 2019). 안료는 ‘3.2.2. 채색 안료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Table 8).

Pigments selection for restorative replication

각 색상별로 대표적인 포인트를 선정하여 색도의 평균 값을 계산한 색상 기준값을 참고하여 고색을 재현한다(Tables 9, 10). 채색 과정에서, 이조년 진영의 경우에는 바림 기법을 사용하고 육색은 흑색으로 명암만 주어 표현한다. 이숭인 진영의 경우에는 관복부 훼손으로 인해 바림 기법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단순 채색하고 박락된 단령부는 복원하지 않는다. 다만 예외적으로 교의 좌측 녹색부는 적외선 조사로 석록 덧칠임을 확인했으므로 원래의 모습대로 먹으로 채색한다. 육색은 등황과 연백을 혼합하여 전채한 후에, 흑색으로 명암을 주고 백색으로 양감을 표현한다. 또한, 과학적 조사 결과 육안으로 알기 힘든 표현 기법들은 특히 주의해서 모사복원한다(Tables 11, 12).

Color reference table of Jo-nyeon’s portrait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of Jo-nyeon’s portrait

Color reference table of Sung-in’s portrait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of Sung-in’s portrait

5. 고찰 및 결론

두 초상화 모두 바탕재로 견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공통적으로 석청(남동광), 석록(Malachite), 녹염 동광(Atacamite)의 구리(Cu) 성분 때문에 안료와 바탕견의 박락 현상이 다른 안료에 비해 심하게 발생하였다(Park, 2011). 이숭인 진영의 단령부의 경우, 열화 인자인 구리(Cu)와 염소(Cl)가 안료에 모두 들어있어 정본(견)이 대부분 떨어 나간 것으로 판단된다. 이숭인 진영의 단령 속 청색포는 연백 배채를 함으로써, 연백의 절연성이 바탕지의 열화를 억제해(Park, 2013) 구리 안료가 쓰인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열화된 것으로 보인다.

안료 분석 결과, 조선시대 회화에 주로 사용되었던 안료들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공통적으로 적색 안료는 주사와 연단의 혼합 혹은 유기 안료를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을 사용했다. 녹색 안료는 석록(Malachite)이 사용되었고, 백색 안료는 연백을 사용했다. 황색 안료는 유기 안료와 금박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숭인 진영의 경우에는 석간주와 녹염동광(Atacamite)도 사용되었다.

표현 기법 조사 결과, 특히 신발과 눈동자, 육색 표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같은 화가가 그렸다고 확신하기는 어렵다. 또한 두 진영은 18세기 전신초상화와 비교한 결과 특이점을 보인다. 당시엔 화문석 돗자리가 보통 족좌대의 천판에 그려지는데 이조년⋅이숭인 진영은 바닥에 그려져 있다. 신발 바닥 표현의 경우에는 이조년 진영은(바탕 채색 없이 백색 쐐기 모양)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나타나며, 이숭인 진영(백색 전체 채색)은 18세기 중반부터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두 진영은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며 모사복원연구가 필요한 문화재이다.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이조년 진영은 고색복원모사, 이숭인 진영은 현상모사로 결정하였고, 재료를 선정했다. 바탕재는 화견을 황색으로 염색하여 사용하며, 2.0% 아교수와 백반 10.0%의 교반수를 사용한다. 안료 분석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조년 진영의 경우에는 적색은 주사와 연단의 혼합과 연지, 청색은 석청, 녹색은 석록(Malachite), 백색은 연백, 황색은 등황과 금박을 선정하였다. 이숭인 진영의 경우에는 이조년 진영과 동일한 안료를 사용하되 적색 안료에는 석간주, 녹색 안료에는 녹염동광(Atacamite)을 추가 선정하였다. 그리고 모사복원 과정에서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각 색상별로 대표적인 위치의 색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한 색상 기준값과 과학적⋅인문학적 분석에 기반한 채색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동시대 전신초상화와 비교한 결과, 화문석 돗자리의 위치와 얼굴 윤곽선에 쓰인 안료, 신발 바닥 표현에서 표현 기법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특이점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최적화된 모사복원이 필요하며, 보다 과학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모사복원에서 주로 이루어졌던 육안관찰 및 인문학적(미술사적) 조사는 표현기법과 무형적인 정신,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모사복원의 결과가 문화재 활용의 목적으로서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활용의 목적을 넘어서 후대에게 전승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조사 자료를 근거로 한 최대한 다양하게 활용된 모사복원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Notes

1)

고려 후기 절의를 지킨 세 학자의 총칭으로, 흔히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를 일컫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근년에는 길재 대신 도은 이숭인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아직 학계에서는 두 가지 설이 다 통용되고 있다(Park, 1995).

2)

천판 위에는 민돗자리가 18세기 초기, 중기에도 깔리기도 하지만, 천판에 화문석이 깔리는 초상이 18세기 초부터 시작된다. 전반적으로 18세기 중반까지는 족좌대의 천판에 민무늬 돗자리가 깔렸으나, 18세기 후반부터 이어져 조선 말기에는 화문석은 천판에 상용적 형식이 된다((Choo and Bang, 2013).

References

Cho S.M.. 2004. Portrait study Moonye Publishing. Seoul: p. 101–108.
Cho S.M.. 1983. Portrait paintings in Korea Youlhwadang Publisher. Seoul: p. 130–130.
Choo W.G., Bang J.H.. 2013;Historical changes of footstool styles in the official uniform portraits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9(3):791–802.
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ortrait of Jeong Mong-ju (鄭夢周 肖像), 1991, https://www.heritage.go.kr/main/?v=1650946206433 (April 26, 202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Bae, J.H.), 1988, Lee Sung-in (李崇仁), http://encykorea.aks.ac.kr (April 26, 202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Park, C.G.), 1995, SamEun (三隱). http://encykorea.aks.ac.kr (April 26, 202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Son, H.R.), 1995, Lee Jo-nyeon (李兆年), http://encykorea.aks.ac.kr (April 26, 2022).
Fine Art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2007-2009, Joseon Portraits 1-3. Graphicnet, Seoul.
John Winter, 1989, Composition analysis of ancient Korean pigments. Journal of Korean Art and Archaeology (美術 資料), 43, National Museum of Korea.
Kim B.S.. 2013;A study on the copy restoration of the painting cultural assets. Won-Buddhist Thought & Religious Culture 58:349–373.
Kim H.K.. 2006. Reproduction of portraits of Joseon period Master’s Degree, Yong-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Yong-in:
Lee S.J.. 2014;A study of Seongju Lee Family’s (星州李 氏家) Portrait was mentioned Nongseogongjokbo (隴西 公族譜). Yeolsanggojeonyeongu 40:481–542.
Lee Y.J.. 2017;A study on the character and evaluation of the professional painters in Choson based on the literature records.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49Minjokmunhwa; :318–318.
Lee Y.J.. 2019. The effect of glue sizing technique for base of buddhist paintings on characteristics of pigments painting and fastness Doctor’s Degree, Chungbuk National Unversity Graduate School; Cheongju:
Moon S.Y.. 2010. A study of pigments applied on paintings since the mid-Joseon Dynasty. Doctor’s Degree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Oh J.S., Lee S.R., Hang M.Y.. 2020;Review of Copper Trihydroxychloride, a green pigment composed of Copper and Chlorin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53(2):64–87.
Oh S.W.. 2018.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and preservation method of the portrait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Portrait of Shin Suk-ju>- Doctor’s Degre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Iksan:
Park S.H.. 2011. The effect of mineral pigments on the materials used for background Master’s Degre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Myonji University; Seoul:
Song Y.N.. 2018.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pigments on Dancheong in Joseon Dynasty Doctor’s Degree,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ngju:
Yun J.Y.. 2009;A study on portrait paintings of the Lees of Seongju (星州李氏). Jangseogak 22:139–17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The portrait of Jo-nyeon Lee.

Figure 2.

The portrait of Sung-in Lee.

Figure 3.

Portrait of Mong-joo, Jeong (Sour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gure 4.

Aging pattern of Jo-nyeon’s portrait.

Figure 5.

Jo-nyeon’s portrait (left), infrared photograph (right).

Figure 6.

Cross section of background fibers of Sung-in’s portrait (× 100).

Figure 7.

Aging pattern of Sung-in’s portrait.

Figure 8.

Sung-in’s portrait (left), infrared photograph (right).

Figure 9.

Analyzing points of Jo-nyeon’s portrait.

Figure 10.

Analyzing points of Sung-in’s portrait.

Figure 11.

Micro-XRF result s of Jo-nyeon’s portrait.

Figure 12.

XRD result of Jo-nyeon’s port rait. M: Malachite.

Figure 13.

XRD results of Sung-in’s portrait, (left) bright green, (right) dark green. M: Malachite, A: Atacamite, C: Clinoatacamite.

Table 1.

The record written on portraits

Jo-nyeon Lee Sung-in Lee
First copy period 1655 (6th year of King Hyojong)
Copy period after the first 1714 (40th year of King Sukjong), 1746 (22nd year of King Yeongjo)
Posthumous epithet 文烈公 李公
Government position name 誠勤翊讚勁節功臣, 中大匡, 星山君 奉翊大夫 簽書密直司事, 都評議使司使, 判典校寺事, 右文館提學, 同知春秋館事

Table 2.

P-XRF r esult of Jo-nyeon’s p ortrait

No. Analyzing point Color Major detection elements Assumed pigment (mineral name)
1 WH-1 (bal-lib) White Cu, Pb Lead white
2 WH-2 (mustache) White Pb Lead white
3 WH-3 (lining) White Pb Lead white
4 WH-4 (eyebrows) White + Black Pb Lead white, Mook
5 WH-5 (white of the eye) White Pb Lead white
6 WH-6 (nails) White Pb Lead white
7 WH-7 (leopard fur) White Pb Lead white
8 R-1 (deep red) Red Pb, Hg Cinnabar + Minium
9 R-2 (jeondae) Red S, Si, Ca, Pb, Hg Cinnabar + Minium
10 R-3 (light red) Red S, Pb, Hg Cinnabar + Minium
11 R-4 (border of jikryeong) Red S, SI, Ca, Pb, Hg Cinnabar + Minium
12 R-5 (lips) Red Pb Organic pigment
13 G-1 (green cloth) Green Si, Cu, Pb, Ca Seokrok (Malachite)
14 G-2 (green cloth) Green Si, Cu, Ca, Pb Seokrok (Malachite)
15 B-1 (bal-lib) Blue Si, Pb, Cu, Al, Hg Seokcheong (Azurite)
16 B-2 (blue cloth) Blue Pb, Cu Seokcheong (Azurite)
17 BK-1 (bal-lib) Black Ca, S, P Mook
18 BK-2 (shoe) Black Si, S, Ca, P Mook
19 BK-3 (border of nose) Black Pb Mook
20 BK-4 (pupil) Black Pb Mook
21 BK-5 (border of eyes) Black Pb Mook
22 BK-6 (hat string) Black Cu, Pb Mook
23 BK-7 (armrest) Black Si, S Mook
24 BK-8 (leopard fur) Black Si, S Mook
25 BK-9 (leg of jokjwadae) Black Si, Al, S Mook
26 Y-1 (face) Yellow Pb Organic pigment
27 Y-2 (pattern on Gyo-ui) Yellow Au, Si, Fe, Pb Gold foil
28 Y-3 (leopard fur) Yellow S, Si Organic pigment

Table 3.

P-XRF result of Sung-in’s portrait

No. Analyzing point Color Major detection elements Assumed pigment (mineral name)
1 Y-1 (jeongja accessory) Yellow Au, Pb, Al, Si, S Lead white + Gold foil
2 Y-2 (gakdae) Yellow S, Au, Si, Pb Lead white + Gold foil
3 Y-3 (background) Yellow Si Organic pigment
4 Y-4 (background) Yellow Pb Organic pigment
5 Y-5 (earhole) Brown Pb Mook
6 Y-6 (string of gyo-ui) Yellow K, Ca Organic pigment
7 Y-7 (cheonpan) Yellow Pb Lead white
8 WH-2 (gakdae) White Pb Lead white
9 WH-3 (jeongja accessory) White Pb Lead white
10 WH-4 (white of the eye) White Pb Lead white
11 WH-5 (skin) White Pb Lead white
12 WH-6 (cheonpan-white flower) White Pb Lead white
13 WH-7 (bottom of a shoe) White Pb Lead white
14 WH-8 (left hand) White Pb Lead white
15 R-1 (hat string-bead) Red Pb, Hg, Ca, Fe Cinnabar + Minium
16 R-2 (lips) Red Pb Organic pigment
17 R-3 (red cloth) Red Pb, Hg, Ca Cinnabar + Minium
18 R-4 (hat string-long bead) Red Si, Fe, Cu, Pb, Ca, K Seokganju
19 R-5 (leg of jokjwadae) Reddish brown Si, Ca Organic pigment
20 R-6 (skin next to the right eye) Reddish brown Pb Mook
21 BK-1 (black-lib) Black Ca Mook
22 BK-2 (shoe) Black Pb, Ca Mook
23 BK-3 (eyebrows) Black Pb Mook
24 BK-4 (pupil) Black Pb Mook
25 BK-5 (border of the left eye) Black Pb Mook
26 BK-6 (border of the nose) Black Pb Mook
27 BK-7 (armrest) Black Si, Ca, S, K Mook
28 G-1 (danryeong) Green Cu, Cl, Ca Atacamite
29 G-2 (green cloth) Green Cu, Ca Seokrok (Malachite)
30 G-3 (green cloth) Green Cu, Si, S Seokrok (Malachite)
31 G-4 (backrest-green part) Green Cu, Si, Ca Seokrok (Malachite)
32 B-1 (blue cloth) Blue Cu, Pb, Ca Seokcheong (Azurite)
33 B-2 (blue cloth) Blue Al, Si, Ca, Cu, Pb Seokcheong (Azurite)
34 Background fiber 1 - Ca, Si, Cu, K -
35 Background fiber 2 - Ca, Si -

Table 4.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portraits in the 18th century

Production period Main character Red Blue Green White Yellow
After 17C 傳 Gonsu Jeong Cinnabar, Seokganju, Minium Seokcheong, Smalt - Lead white, silver Orpiment, gold
1719 Im Sin Cinnabar, Seokganju Seokcheong Seokrok Lead white Orpiment, gold, Massicot
1720 (estimated) Sunjeong Yoo Organic pigment, Seokganju, Cinnabar + Minium Seokcheong + Lead white - Lead white Orpiment + Lead white
Early 18th century Guman Nam Cinnabar, Seokganju, Minium, dyestuff Seokcheong Seokrok, Atacamite Lead white Gold, Orpiment
1746 Jo-nyeon Lee Cinnabar + Minium, organic pigment Seokcheong Seokrok (Malachite) Lead white Organic pigment, gold foil
1746 Sung-in Lee Cinnabar + Minium, organic pigment, Seokganju Seokcheong Seokrok (Malachite), Atacamite Lead white Organic pigment, gold foil
1762 Geup Yun Cinnabar, Seokganju, Minium, dyestuff Seokcheong, Smalt Seokrok, Atacamite Lead white Gold, Orpiment, Massicot or dyestuff
1792 Maesu Seo Cinnabar, Seokganju, Minium Seokcheong, Smalt, cheongmook or dyestuff (Niram) Seokrok Lead white, white clay (kaolinite) Orpiment, gold, Massicot or dyestuff

Table 5.

Expression techniques of Jo-nyeon’s portrait

Table 6.

Expression techniques of Sung-in’s portrait

Table 7.

Expression techniques of portraits in the 18th century

Production period Main character The contour of the face The bottom of the shoes The outer white line of iris
After 17C 傳 Gonsu Jeong Seokganju White wedge pattern without background color X
1719 Im Sin Seokganju - X
Early 18th century Guman Nam Cinnabar White oval pattern without background color X
1762 Geup Yun Seokganju Full colored in white O
1792 Maesu Seo Seokganju Full colored in white O

Table 8.

Pigments selection for restorative replication

Portrait Red Blue Green White Yellow
Jo-nyeon, Lee Cinnabar + Minium, Yeonji Seokcheong (Azurite) Seokrok (Malachite) Lead white Gamboge, gold foil
Sung-in, Lee Cinnabar + Minium, Yeonji, Seokganju Seokcheong (Azurite) Seokrok (Malachite), Atacamite Lead white Gamboge, gold foil

Table 9.

Color reference table of Jo-nyeon’s portrait

Analyzing point Color L* a* b* Pigment
White 69.85 1.8 9.82 Lead white
Deep red (R-1) 39.21 19.08 13.14 Cinnabar + Minium
Light red (R-2) 44.25 21.19 18.13
Green 59.53 -7.8 13.9 Seokrok (Malachite)
Black 35.6 0.71 5.29 Mook
Blue 58.71 -7.59 1.21 Seokcheong (Azurite)

Lips: Yeonji (L*: 53.45, a*: 4.3, b*: 11.92)

Table 10.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of Jo-nyeon’s portrait

Part Pigment Expression techniques
Skin Gamboge, Mook Blend a small amount of Mook with Gamboge to create contrast along the outline.
The top of shoes Lead white, Mook Draw a dot in Lead white and cover it with Mook to express the volume.
Lining (Pho) of bal-lib Seokcheong (Azurite), lead white, Cinnabar + Minium - Blue lining: Firstly color the background with Seokcheong, then dry it and express the pattern with Lead white.
- Red lining: Firstly color the background with a mix of Cinnabar and Minium and use a darkened mix of Cinnabar and Minium to express the pattern.
Nails Lead white Based on the outline of the nail, the expression becomes sof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Mustache, beard Lead white, Mook Color them in a light Lead white in advance to give a lumpy feeling.
Jikryeong Cinnabar + Minium, Mook Color using the Barim technique, but use a small amount of mook to express the contrast around the folds of clothes.
Hwamunseok mat (background) Lead white Color the background with a light Lead white before expressing the pattern.

Table 11.

Color reference table of Sung-in’s portrait

Analyzing point Color L* a* b* Pigment
White Except for large chromatic deviation Lead white
Red 44.13 22.18 18.15 Cinnabar + Minium
Deep green (G-1) 51.25 -9.88 15.45 Atacamite
Light green (G-2) 58.08 -9.55 13.35 Seokrok (Malachite)
Black 35.49 0.78 4.96 Mook
Blue 62.6 -7.8 2.59 Seokcheong (Azurite)

Long bead of hat string: Seokganju (L*: 43.39, a*: 13.27, b*: 13.99)

Lips: Yeonji (Chromaticity measurement impossible)

Table 12.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of Sung-in’s portrait

Part Pigment Expression techniques
Skin Gamboge, Mook Paint skin all over with Gamboge. Then use a small amount of Mook to create contrast along the outline, and express the volume of the face with light Lead white.
The top of shoes Lead white, Mook After making a dot with Lead white, cover it with Mook to express a sense of volume, but express it relatively strong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ead white than that of Lee Jo-nyeon.
Gakdae (white outline) Lead white Color by covering the outline of Mook.
Backrest (green part) Mook Although phenomenon replication is adopted, as an exception, only the green part of the backrest of the left bridge was guaranteed by infrared image, so restore the original color with Mook.
Mustache, beard Mook By pre-coloring the area where the Mustache and Beard are to be drawn with a Dam-mook, a lumpy feeling appears even if they are drawn one by one.
Lips Yeonji Expresses softer towards the inside of the lips.
Hat string Seokganju, Cinnabar + Minium Short beads are colored with Seokganju, and long beads are colored with Cinnabar + Minium.
Hwamunseok mat (background) Lead white Color the background with a light Lead white before expressing the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