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연구대상 및 방법
2.1 현황 및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결과 및 해석
3.1 초음파속도
Table 1
Figure 2.

3.2 반발경도
Figure 3.

Table 2
3.3 압축강도
Table 3
고 찰
4.1 물성평가
Figure 4.

Figure 5.

4.2 강도해석 및 적용성 검토
결 언
회곽묘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묘제로 당시의 사회 와 장례문화 이해에 중요한 자료이다. 회곽 자체에 대한 과 학적 및 공학적 연구는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바 있 다. 이 연구에서는 평택 궁리유적에서 확인된 회곽묘를 대 상으로 비파괴 방법을 적용하여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제 작방식에 따라 강도를 해석하였다.
초음파속도 측정결과, 층벽식으로 제작한 회곽묘는 1,708∼4,536 m/s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통벽식으로 제작 한 222호 및 223호 회곽묘는 2,657∼6,574 m/s와 1,790∼ 6,483 m/s의 속도를 보였다. 반발경도 측정결과, 층벽식 회 곽묘의 평균 반발경도는 33.0이며 14.5∼55.5의 범위를 보 였다. 통벽식 222호 회곽묘는 평균 27.6(14.5∼56.5), 223 호 회곽묘는 평균 27.2(14.5∼49.5)로 층벽식 회곽묘에 비 해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초음파속도 측정에서는 층벽식으로 제작한 회곽묘의 물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반발경도 측정결과 층벽식 회곽 묘의 물성이 높게 산출되었다. 궁리유적 회곽묘의 물성을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초음파속도는 비교적 유사한 범위를 보이나 궁리유적 회곽묘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 타났다. 반발경도 측정을 통해 산출한 압축강도에서는 최 소값은 낮지만 전반적인 범위는 유사하였다. 이는 상대적 으로 측정면적이 작은 반발경도법이 초음파법보다 더욱 일정한 강도로 산출됨을 지시하는 것이다.
초음파속도 측정의 원리를 고려했을 때, 벽체에 가해 진 충격으로 손상이 발생했을 경우 회곽의 정확한 물성과 상이한 결과가 산출될 수 있다. 반발경도는 상대적으로 외 부충격에 대한 영향은 낮지만 타격과정에서 사용자의 주 의가 필요하다. 모두 각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측정 대상의 파괴가 없고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기법이다. 특히 통벽식으로 제작한 회곽묘에 적용했을 경우 강도의 차이 는 있으나 유사한 경향성을 보인다. 따라서 층벽식으로 제 작한 회곽묘에 비해 통벽식으로 제작한 회곽묘의 물성평 가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