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방법
2.1. 석탑 모르타르 복원부위
2.2. 반전위 측정
2.2.1. 측정개요
2.2.2. 측정방법
2.2.3. 실험체 제작
연구결과
3.1. 철근탐사
Table 2
![]() |
3.2. 옥개석 반전위 측정
3.3. 실험체 반전위 측정
Figure 8

결과 고찰
4.1. 실험체 건조상태
4.2. 실험체 습윤상태
4.3. 옥개석 손상가능성 평가
결 론
RC-RADAR를 이용한 철심의 위치 정보 및 피복두께 측정 결과, 옥개석에는 총 17개소(중복 1개소)에서 철심이 탐지되었으며, 탐지된 철심 위치에서의 피복두께는 전반적 으로 25~50 mm로서 철근 부식 인자가 충분히 철심부에 도 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3수준의 물-시멘트비(35, 55, 70%)와 4수준의 피복두 께(20, 30, 40, 50 mm)를 시험변수를 고려한 모르타르 실험 체를 총 74개 제조하였으며, 6시간, 18시간, 42시간 동안 20 V로 촉진부식하여 부식량 및 반전위 측정을 수행하였 다. 해당 내용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결정계수 0.86 이 상의 높은 상관식을 도출하였으며, 이 식을 이용하여 부식 손상가능성 평가 및 부식량을 산정하였다.
옥개석 외부 노출 철근의 부식손상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건조상태에서는 -200 mV이상의 전위값을 가지고 있 으므로 철근의 부식가능성은 10%이하로 매우 낮았으나, 습윤상태에서는 모두 -430 mV이하의 전위 값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옥외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부식이 상당히 진행 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부식량을 산정한 결과 습윤 상태의 옥개석 상단부는 전위측정값이 -449~-663 mV수준 이었으며, 하단부는 -431~-591 mV수준으로 평가되었고 부식량은 상단부 1.55~4.31 g, 하단부 1.10~3.39 g으로 평 가되었다. 가장 취약한 조건은 옥개석 동측면 2-1지점의 피 복두께 12 mm로 부식량은 최소 3.88 g, 최대 4.31 g으로 평 가되었다.
제안된 다중회귀분석식 및 철근부식관련 DB를 활용 하여 옥개석 손상의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습윤상태에서 는 측정한 전 면적에서 전위 값이 -350 mV이하로 측정되 었으므로 부식손상 가능성은 모두 90%이상인 것으로 평가 되었다.
현재 석탑 옥개석의 모르타르는 반전위 측정시 전위 값이 -431~-663 mV범위이며(습윤상태 기준), 부식예측량 또한 1.10~4.31 g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추가적인 균열과 표면박리․박락, 구조적 손상 등이 예상되기 때문에 부식 철근과 손상된 모르타르를 제거한 후 신석재를 사용 한 복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연구는 향후 모르타르의 파괴분석을 통한 중성 화 시험, 기공도 및 공극율 평가, 철근과의 접합 상태를 명 확히 밝힌 후 상호 교차검증이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추 후 연구를 통해 분석 데이터의 상관성을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