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J. Conserv. Sci Search

CLOS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08;23(0):81-93.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 2008.
아산 명암리 출토 인골의 고유전학적 연구
지상현, 김윤지, 정용재, 서민석, 박양진
A Paleogenetic Analysi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Myeongam-ri Site, Asan in Korea
Sang Hyun Jee, Yun Ji Kim, Yong Jae Chung, Min Seok Seo, Yangjin Pak
초 록
오늘날 고대 DNA 분석을 통한 고유전학 연구는 인류학, 고고학, 생물학 분야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유적 9지점에서 발굴조사 된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 초기 분묘 출토 인골 20개체를 대상으로 고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DNA 추출 및 PCR 과정에서 연구자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DNA 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과정은 무균작업대에서 시약과 소모품을 고온멸균 및 자외선 처리하여 진행되었으며, 음성대조군을 설정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실리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출토 인골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과변이지역을 9지역으로 나누어 PCR법에 의해 부분 증폭을 실시하였다.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과변이지역의 변이형을 동정하였으며, 이를 현대 한국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아산 명암리 소규모 지역집단의 옛사람 인골 20개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기대 이상의 다양한 mtDNA haplogroup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랜 세월 동안 생활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은 아산 명암리 유적 주변의 개방적인 지역적 조건과 이곳에 거주했던 개체군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아산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많은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이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중심어: 미토콘드리아 DNA, 고유전학, 출토 인골, 유전적 다양성, 명암리, 고대 DNA
ABSTRACT
The analysis of ancient DNA (aDNA) in paleogenetics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ubject of archaeological, anthropological, biological as well as public interest. In this study, paleogenetic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human skeletal remains from a historical cemetery site in Myeongam-ri, Asan, Korea. Archaeological records show that this particular location had been used as a habitation or mortuary site as early as the Bronze Age and up until the Joseon Dynasty. Human remains of twenty individuals out of forty-nine tombs from the Goryeo to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alogy of the population and traditional burial pattern of the cemetery,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hyper variable regions (HVRs) in mitochondrial DNA (mtDNA) of each sample. A number of cautious steps were taken at all experimental stages in order to avoid erroneous recombination by the segmental and modern contaminat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ers. We sequenced segmental amplicons of HVRs and assigned relevant haplogroups according to the sequence polymorphism on the basis of the known mtDNA database. The result shows that diverse haplogroups were unexpectedly present in the small population group of the Myeongam-ri site. This diversity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archaeological properties of the Myeongam-ri site.
Key Words: Mitochondrial DNA, Paleogenetics, Excavated human bone, Genetic diversity, Myeongam-ri, Ancient DNA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FOR READERS
Editorial Office
303, Osongsaengmyeong 5-ro, Osong-eup, Heungdeok-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Tel: +82-10-5738-9111        E-mail: journal@conservation.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