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J. Conserv. Sci Search

CLOSE


J. Conserv. Sci > Volume 32(1); 2016 > Artic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16;32(1):63-73.
DOI: https://doi.org/10.12654/JCS.2016.32.1.07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6.
거창 정장리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과 특징
윤지현, 김규호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n the Glass Beads from Jeongjang‐ri Site in Geochang, Korea
Ji Hyeon Yun, Gyu Ho Kim
초 록
본 연구는 거창 정장리 유적에서 복원이 불가능한 유리구슬 편 24점과 완형 유리구슬 26점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관찰과 화학 조성 분석을 통해 재질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유리구슬의 형태적 특성은 색상, 크기, 풍화 상태, 제작 기법에 따라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화학 조성에 따른 분류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유형은 소다유리군, 세 번째 유형은 포타쉬유리군,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유형은 납바륨유리군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거창 정장리 유적의 유리구슬은 형태적 특성에 따라 화학 조성이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다양한 화학 조성이 확인되었다. 본 유적의 유리 문화의 흐름을 살펴보면 납바륨유리군 II형과 포타쉬유리군 I, II형이 나타나는 유구는 비교적 선행 시기인 목곽묘 단계, 소다유리군과 납바륨유리군 III형이 나타나는 유구는 비교적 후행 시기인 목곽묘 단계의 유리 문화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중심어: 거창 정장리, 목곽묘, 유리구슬, 곡옥, 화학 조성
ABSTRACT
This study defined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of 24 glass fragments and 26 whole glass beads. The feature of glass beads shape are divided into 5 types following color, size, weathering condi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Through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type is soda glass, the third type is potash glass, the fourth and fifth type is lead barium glass. This site showed the aspect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eature of glass shape and was found that various chemical compositions. Looking at the flow of glass culture, the tomb that are lead barium glass IItype and potash glass I, IItype is relatively preceding period and the tomb that are soda glass and lead barium glass IIItype is following period.
Key Words: Geochang Jeongjang-ri, Wood Coffin Tomb, Glass Beads, Curved Bead, Chemical Composition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FOR READERS
Editorial Office
303, Osongsaengmyeong 5-ro, Osong-eup, Heungdeok-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Tel: +82-10-5738-9111        E-mail: journal@conservation.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